자승 '소신공양' 칠장사 화재와 불교계의 충격: 정치 승려의 비극적 종지부

자승 자승은 대한불교조계종 전 총무원장, 전 승가학원 이사장이자 은정불교문화재단 이사장,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건학위원회의 총재이자 고문, 봉은사의 회주이기도 했다. 1972년 18세의 나이에 해인사에서 지관(智冠)을 계사(戒師)로 사미계를 받았고 1974년 범어사에서 석암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다만 출가 연도를 1969년으로 소개한 언론도 있다. 조계종 총무부장 영담(影潭)에 따르면 이는 “종회의원 초선 때 부족한 법랍(法臘)을 채우려 앞당겨 적은 것으로 훗날 문서 견책(경고)을 받고 바로잡았는데도 이 사실을 모르는 기자들이 오기(誤記)하는 것”이라고 한다. 자승의 첫 번째 스승은 제9대 총무원장을 지낸 경산(前 적조사 주지), 두 번째 스승은 제30대 총무원장을 지낸 정대(正大·前 용주사 주지)다. 불가에서는 은사를 바꾸지 않는 것이 불문율이지만 자승은 경산이 일찍 사망해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조계종 총무원장 2006년부터 2년 동안 중앙종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 10월 22일 조계종 제33대 총무원장 선거에서 전체 317표 중 290표라는 역대 최고 지지율로 당선됐다. 이후 2013년에 재선되어 2017년에 2선 임기를 마쳤다.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건학위원회 총재 2021년 4월 29일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건학위원회의 고문이자 총재가 되어 사실상 동국대학교의 실권을 좌우할 수 있는 자리에 올랐다. 건학위원회가 무엇이길래 학내의 실권을 잡느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동국대학교의 규정을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건학위원회는 건학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신설한 기관으로,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산하 모든 각급 학교(유치원 포함)와 병원에 설치해 각 기관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법인 이사장이 건학위원회의 당연직 부총재로 임명되는 것이 규정에 있다. 법인 이사장이 건학이념을 실현시키는 학내 기관장의 부하직원으로 규정된 것이다. 동국대학교 홈페이지 학교 안내 탭에도 건학위원회 탭이 따로 있으며 자승의 큼지막한 사진과 인삿말을 넣어 두었다. 따라서 ...